주식회사 케이리스크/관련 자료

K-Riski RMSG(25.07.02) NCHRP Synthesis 653 Open-Book Pricing Practices for CM.GC and Progressive DB Projecs(CM.GC 및 프로그레시브 DB 프로젝트를 위한 공개 가격 책정 실무)

케이리스크 2025. 7. 2. 09:51
매주 둘째, 네째주 토요일 20:00~ 온라인에서 하는 RMSG(RM Study Group)에서 잠깐 Review하겠습니다. K-Risk 회원은 누구든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공부 모임에 참여하실 분은 아래 구글링크에 응답을 제출하여 주세요. 

 

Gransberg and Pala (2025) NCHRP Synthesis 653 Open-Book Pricing Practices for CM.GC and Progressive DB Projects.pdf
16.27MB

 

(Q) 이 연구보고서의 목적, 의미와 한국에서의 활용방안 요약해줘

 

이 연구 보고서는 건설 관리/종합 건설업자(CM/GC) 및 점진적 설계-시공(PDB) 프로젝트에서 개방형 장부 가격 책정 방식의 목적, 의미, 그리고 한국에서의 활용 방안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연구 보고서의 목적 및 의미

이 연구 보고서의 주된 목적은 (미국) 주 교통부(DOT)가 CM/GC 및 PDB 프로젝트에서 건설 가격을 협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형 장부 가격 책정 정책과 절차를 벤치마킹하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이러한 방식의 성공 사례와 과제를 문서화하고, 프로젝트 건설 가격에 대한 상호 합의에 기여하는 개방형 장부 프로세스의 요소를 파악하고자 합니다.

 

개방형 장부 가격 책정 방식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명성 및 리스크관리 강화: 가격 투명성을 높이고, 가격 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주요 리스크를 계약 가격 확정 전에 줄이며, 리스크를  가장 잘 관리할 수 있는 주체에게 협력적으로 할당하여 리스크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비용 및 일정 확실성 증대: 설계 결정 최종화 전에 기술적 대안을 평가하고, 비용 및 일정의 확실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업 환경 조성: 협업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며, 이는 개방형 장부 가격 책정 방식의 성공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무 지침 제공: 많은 주 교통부가 개방형 장부 협상 경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절차 구성, 조달 문서 명시, 효과성 평가에 대한 지침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이 보고서는 현재의 실무에 대한 귀중한 통찰과 개요를 제공합니다.

한국에서의 활용 방안

이 연구 보고서의 내용은 미국의 주 교통부를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개방형 장부 가격 책정 방식의 원칙과 실무는 한국의 건설 및 인프라 프로젝트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공공 조달 시스템 개선: 한국의 공공 기관(예: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국가철도공단 등)은 CM/GC 및 PDB 프로젝트에서 개방형 장부 가격 책정 정책 및 절차를 개발하거나 개선하는 데 이 보고서의 연구 결과와 권고사항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 투명성 및 신뢰 증진: 프로젝트 발주처와 계약자 간의 투명성과 상호 신뢰를 높여, 더욱 협력적인 프로젝트 수행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리스크 분담 및 관리 효율화: 프로젝트 초기 단계부터 계약자를 참여시켜 리스크를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담함으로써, 복잡한 인프라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예산 및 일정 준수율 향상: 가격 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프로젝트의 비용 및 일정 확실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예비비 축소를 통해 효율적인 예산 집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 전문성 강화 및 연구 확대: 개방형 장부 협상 지침 개발 및 협상 담당자 교육과 같은 보고서의 권고사항 은 한국 건설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관련 연구를 확대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본 보고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