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위 책의 용어의 정의에 나오는 모든 용어입니다.
가격 (Price) –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재정재무적 지출
[가격(price) = 원가(cost) + 본지사관리비(overhead) + 이익(profit)]
가용성 휴리스틱(Availability heuristics) – 사람은 최근에 일어났거나 특별했던 사건에 대한 기억을 쉽게 회상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중요성을 부풀리려는 잠재의식적 성향과 결합된다. 그러한 주관적인 생각과 아이디어들을 선호하고, 정착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모든 프로젝트는 고유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결과에 가장 적합한 경험과 지식을 얻기 위해 좀 더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휴리스틱/인지적 편향 참조).
가정사항 (Assumptions) – 계획의 목적상 증명 없이 사실 · 실제 또는 확실하다고 간주되는 요소
가정사항 등록부 (Assumptions register) – 리스크 모니터링 및 컨트롤활동 과정에서 도출된 새로운 가정사항이나 제약조건들을 식별하는 등록부
간접비 (Indirect cost) – 계약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발생했지만 프로젝트 원가 요소에 직접적으로 귀인하지 않는 비용.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예비, 감독, 일반 및 관리비용과 같은 비용 요소가 포함된다.
감시목록 (Watch List) – 매일 프로젝트 검토 회의에서 조사된 주요 리스크 목록
견적 (Estimate) – 프로젝트 견적은 실제 두 가지 주요 기준 원가와 리스크/불확실성 요소로 구성된다. 견적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범위로 표현되는 것이 적절하다.
견적산출기준 (Basis Of Estimate; BOE) – 계약자가 프로젝트 범위, 비용 및 일정에 대한 변경사항을 쉽게 추적할 수 있는 설명서. 이 설명서는 여러 견적자 및 평가자가 프로젝트에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서이다. 복잡한 프로젝트는 이 문서를 개발하는 데 몇 년이 걸리며 따라서 견적은 여러 차례 수정을 걸쳐 완성되어야 한다.
결정론적 비상준비금 평가(Deterministic contingency assessment) – 비상준비금의 평가를 위해 결정적 모델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모든 입력 매개변수를 상수로 취급한다. 이에 비해 확률 모델은 모든 입력 매개변수를 할당된 확률 분포에 따라 변경되는 변수로 취급한다.
계류 편향 (Anchoring bias) – 인지 편향(cognitive bias)의 하나로, 개인이 의사결정을 내릴 때 제공된 초기 정보(“앵커”로 간주됨)에 너무 크게 의존하는 편향이다. 예측을 할 때 간편한 추정을 하게 되면 개인의 추정(또는 예측)에 영향을 받는 경향을 말한다. 이 초기 추정(또는 앵커)은 전통적 방법, 이전 이력자료 또는 사용 가능한 데이터에 그 기반을 두게 되는 수가 있다. 부정확하거나 설문없게라도 처음으로 제공된 정보에 대한 무의식적인 맹신, 판단과 상상에 대한 이런 증력된 접근은 전체 영향요. 최상의 추정이나 솔루션을 다른 팀 방해할 수 있다. 제품 판매자는 처음에 높은 가격을 제시하여 이러한 계류편향을 악용하기도 한다. 이 편향에 대응하려면 최대값을 먼저 도출하고 최소값을 도출한 다음 가장 가능성이 높은 값을 도출하는 것을 권장한다.
계획 사양 및 견적 (PSE or PS&E) – 사양(specifications)과 프로젝트 설계 엔지니어의 견적치가 포함된 계약 문서
계획 비용 (Planning Costs) – 공식적인 프로젝트 착수 이전에 예상되는 프로젝트 비용이다. 여기에는 도로망, 개별프로젝트, 주변 도로망, 지역 여건, 조사 등과 관련된 노력이 포함된다.
관리준비금 (Management reserve) – 미확인된 리스크나 알 수 없는 리스크(unknowable risks)를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비용. 관리 준비금은 프로젝트 예산의 일부가 되지만 해당 프로젝트 비용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조직의 정책에 따라 만들어진 수치이다(컨틴전시 준비금 참조).
교훈 (Lessons learned) –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얻은 배움. 이 때 얻은 교훈은 나중에 언제든지 확인이 가능해야 한다.
교훈 등록부 (Lessons learned register) – 리스크관리 과정에서 경험한 지식들을 기록하여 해당 프로젝트나 차기 프로젝트에 활용하기 위하여 만든 등록부
국제코스트엔지니어링발전협회 (AACEI: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st Engineering International)
권위 편향 (Authority bias) – 권위 있는 인물의 의견에 더 큰 정확성을 부여하고 그 의견에 더 많이 영향을 받아 그들의 견해가 더 신뢰할 수 있다고 믿고 따라서 권위자의 관점을 더 강조하는 경향(참조: 인지편향(Cognitive bias)). 워크숍 환경에서 저명한 전문가의 존중으로 인해, 그 사람이 주장하거나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아이디어와 반대되거나 비판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검토 의견 제시를 막게 되는 등 팀의 사고에 미묘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팀이 원하는 숫자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부적절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은 가끔적인 팀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장 좋다.
기대값 (Expected value) – 확률×임팩트의 예상값은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평균비용, 활동지속시간 등을 추정하는 가장 좋은 추정치이다. 확률 분포 함수의 기대값은 가능한 모든 값에 확률을 곱하여 계산된다. 기대값은 특히 비용의 경우 누적될 수 있지만 이를 방지하는 요인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산된 확률 분포에 내재된 증적이나 누락이 있을 수 있다.
기본 변동성 (Base variability) – 리스크 사건으로 인한 내재된 변동성. 기존 변동성은 기본 값±x%와 같은 양식의 기대값에 대한 적당한 대칭 범위를 파악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개발 수준과 프로젝트 복잡성에 따라 ±5% 또는 ±15% 정도이다. 변동성은 견적산출기준에 대한 수량 및 가격 변동을 나타낸다.
예 (EXAMPLE) – 가스 탱크를 채우는데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다. 구매 전까지는 확실하지 않다. 관련 단가 비용 및 수량 관련 불확실성이 있다. 가스 탱크 용량이 20갤런이고 가스 게이지가 비정의 절반인 경우 필요 가스와 비슷하다. 실제 얻은 정확히 10.0 갤런이 아닌 9~11 갤런 사이이다.
기본설계단계의 견적금액 (Preliminary Estimate) – 기본 견적금액은 일반적으로 발주 전의 최종 견적금액이며 전체 프로젝트 범위와 현재 가정사항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작업의 범위 또는 비용을 변경하는 입찰 기간 부족은 낮잘 근거의 일부로 작용하기 위해 수정된 예비 견적 또는 변경된 가치의 조정을 요구할 수 있다.
기본비용 (Base cost) – 기본비용은 엔지니어링비용, 용지보상비 및 시공비를 포함하여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실현되는 경우 “합리적으로 예상 되는” 비용을 나타낸다. 기본비용은 편견이 없고 중립적이며 낙관적이거나 보수적이지 않은 견적금액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리스크 사건으로 인한 비용은 포함되지 않지만 표준 건설 컨틴전시는 포함한다. 프로그램 관리에 보고되는 기본비용(base cost)은 현가로 표시된다. 향후 비용 상승(escalation)은 제외됨.
기본비용 견적 (Base cost estimate) – 검토 검증이 완료된 프로젝트 비용 추정치를 나타내는 정량적 비용·리스크 분석 용어. 기준 원가는 엔지니어링비용, 용지보상비 및 시공비를 포함하여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실현되는 경우 “합리적으로 예상 되는” 비용을 나타낸다. 기준 원가 견적은 편견이 없고 중립적이며 낙관적이거나 보수적이지 않아야 한다. 리스크 사건으로 인한 비용은 포함하지 않지만 표준 건설 컨틴전시는 포함한다. 프로그램 관리에 보고되는 기준 원가(base cost)는 현가로 표시됨. (향후 비용 상승(escalation)은 제외됨)
기본비용 견적 타당성 검증 (Base cost estimate validation) – 비용의 타당성, 합리성, 일관성 및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려 중인 특정 프로젝트의 예상 원가에 대한 자세한 검토. 프로젝트 개발 전반에 걸쳐 견적서를 여러 번 검토하고 검증한다. 정량적 분석의 경우, 프로젝트 비용은 프로젝트 팀에 의해 초기게 추정된 후 워크숍 이전과 워크숍 기간 중에 검토 및 검증되며, 이렇게 검토 및 검증된 추정치는 정량적 분석의 기준 원가견적이 된다.
기준선 (Baseline) – 승인 과정을 거친 프로젝트 범위, 비용, 일정 및 기술과 관련된 현재 기준. 일반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수치와 함께 사용된다(예: 비용 기준, 일정 기준, 성능 측정 기준, 기술 기준).
기회 (Opportunity) – 프로젝트 목적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불확실성(긍정적 리스크). 예를 들어 비용 또는 기간 단축 전략, 유리한 자금 조건, 수익 예측 개선 등이 있다.
낙관주의 편향 (Optimism bias) – 사실에 의해 증명되는 것보다 유리한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하는 정신상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편견에 취약함. 우리는 부정적인 사건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함. 사람에 따라 내 현장이 타 현장보다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낙관주의 편향에 대한 지속적인 경고가 프로젝트 리스크관리에서 상당히 도움이 됨
(“…비현실적인 낙관주의는 위험한 행동, 재정적 붕괴, 잘못된 계획으로 이어질 수 있음. 예를 들어, 영국 정부는 낙관주의 편향으로 인해 개인이 프로젝트 비용과 기간을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인정함. 그래서 그들은 낙관편향을 고려하여 2012년 올림픽 예산을 조정함.” – 탈러 샤롯, TED 2012 인용)
당해년도 달러 (Current Year dollars) – 오늘의 가격, 프로젝트의 예상 비용을 현재 달러로 표시한다.
대응 후 리스크 (Post-response risk) – 대응 이후의 리스크가 결정되고 기회를 개선하고 프로젝트 목표에 대한 위험리스크를 경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 대응조치는 각 리스크 대응에 책임을 지는 당사자를 식별하고 지정한다. 대응 조치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경우 리스크를 ‘대응 전 리스크’(pre-response risk) 라고 한다.
동기 편향 (Motivational bias) – 사건, 결과, 성과 또는 선택 사항 등에 대한 원함과 원하지 않음으로 인해 판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인센티브나 부여된 동기 때문에 발생하는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왜곡 편향. 동기편향으로 인하여 견적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판단이 개인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음 때마다 견적 및 추정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리스크 (Risk) – 프로젝트 수행목적에 영향을 주는 불확실성 효과
리스크 강화 (Enhance risk) – 긍정적 리스크의 “크기”를 수정하는 것이다. 기회의 확률이나 임팩트를 증가시킴으로써 기회를 강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 목적에 긍정적인 이익을 극대화시킨다.
리스크 관리 (Risk Management) – 잠재적인 기회의 극대화 및 프로젝트 목표에 대한 위협의 최소화를 포함하여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문화, 프로세스 및 구조를 말한다. (본 가이드라인의 제1편 참조)
리스크 공유 (Share risk) – 프로젝트 목적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기회리스크의 발생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거나 기회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잠재적 이익을 더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타인에게 기회리스크 소유권의 일부 및 전부를 공유한다.
리스크기반 견적 (Risk-based estimate; RBE) – 알려진 항목 및 수량에 대한 전통적인 추정 방법과 불확실한 항목, 불확실한 수량 및 리스크 사건을 추정하기 위한 리스크분석 기법 등의 두 개념을 결합한 비용 추정 기법. 견적치의 리스크 기반 부분은 일반적으로 불확실성의 몇 가지 핵심 요소에 중점을 두며, 총 프로젝트 비용 범위를 설정하고 컨틴전시를 중요한 프로젝트 요소에 어떻게 할당할 것인지 그 방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리스크 대응 (Risk response) – 기회를 강화하고 위협을 줄이기 위한 조치들을 파악하고 구현하는 프로세스. 리스크 대응은 당사자가 소유권을 갖도록 하며 대응 조치에 대해 책임을 진다. 위협에 대한 대응은 회피, 완화(경감), 전가, 수용이 있고, 기회에 대한 대응은 활용, 강화, 공유, 수용이 있다.
리스크 등록부 (Risk register) – 리스크 등록부는 (리스크관리대장이라고 하기도 하며) 식별된 프로젝트 리스크에 대한 저장 장소의 역할을 한다. 리스크 등록부에는 리스크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진화하는 “살아있는” 문서이다. 리스크 등록부는 일반적으로 리스크 ID 번호, 리스크 상태, 리스크 범주, 리스크 이름, 리스크 원인, 리스크 결과, 리스크 트리거, 리스크 발생 가능성, 리스크 발생 영향, 대응 조치, 그리고 관련 메모들로 구성된다. 리스크 등록부는 의사 결정자를 돕는 프로젝트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 도구 역할을 하며 리스크 분석을 쉽게 해준다.
리스크 리더(Risk leader) – 리스크 리더(들)는 예상 비용 및 일정의 예상 리스크 및 불확실성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젝트의 범위, 일정 및 비용 추정에 대한 워크숍 회의 등에 참여한다. 리스크 리더는 모델링을 위한 리스크 추출 및 프로젝트 흐름도 개발을 포함한 프로세스의 리스크 부분을 이끈다. 선택된 프로젝트에 대한 비용 검증이나 검토 및 리스크 불확실성 워크숍에 참여한다. 준비 세션, 후속 회의 및 필요에 따라 세션을 재실행한다. 워크숍을 기록한 보고서 및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한다. 보고서 가이드/목차를 사용하여 보고서를 제공한다. 프로젝트 정의, 리스크 식별 및 관리와 같은 주제에 대한 워크숍을 개발하거나 구현한다.
리스크 모니터링 (Risk monitoring) – 요구 또는 예상되는 성능 수준으로부터 어떤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상태를 확인 및 비판적으로 관찰하거나 결정하는 것
리스크 분류구조 (Risk breakdown structure; RBS) – 프로젝트 조직 등에서 리스크 제목을 미리 작성해 놓은 분류구조
리스크 사건 (Risk events) – 비용, 일정, 안전, 성능 또는 기타 특성에 영향을 미처 정의된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한 사건
리스크 성향 (Risk appetite) –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간주하기 전에 조직/프로젝트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그 리스크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정도의 수준
리스크 수용 (Accept risk) – 리스크 대응이 불가능하거나 실용적이지 않거나 리스크의 중요성에 비해 그 대응책이 보증되지 않는 경우에 채택되는 리스크 대응 전략 중 하나이다. 프로젝트 관리자와 프로젝트 팀이 리스크를 수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리스크가 발생하는 시기와 그 시기에 리스크를 처리하기로 동의하는 경우 리스크 수용이라 한다. 그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컨틴전시 계획(Contingency plan), 대안계획이나 컨틴전시 준비금(Contingency reserve)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리스크 식별 (Risk identification) – 잠재적 리스크 사건을 식별해 내고 구체화 및 정량화하는 프로세스
리스크 오너 (Risk owner) – 리스크를 관리할 책임과 권한이 있는 개인 또는 단체
리스크 완화 (Risk mitigation) – 리스크 완화(경감)는 프로젝트 목적에 나쁜 영향을 주는 유해한 리스크 사건의 확률이나 임팩트를 허용 가능한 임계값으로 감소시키는 리스크 대응전략이다. 리스크의 확률 또는 임팩트를 줄이기 위해 조기에 조치를 취하는 것이 리스크가 발생한 이후 손상을 복구하려고 시도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리스크 완화에는 자원이나 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리스크 완화 비용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사이의 비교를 통해 전략을 결정한다.
리스크 임계값 (Risk threshold) – 조직이 리스크를 수용할 수 있는 불확실성의 상·하한값. 이 리스크 상·하한선 밖으로 평가될 때 우리는 적절한 리스크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스크 전가 (Transfer risk) – 리스크의 책임을 다른 당사자에게 전가(이전)시키는 것이다. 목적은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자로 하여금 책임 및 관리를 하게하는 것이다. 리스크 전가는 비교적 상당한 금액의 지출을 수반하며, 전가 전략을 채택할 필요가 있을지 결정할 때는 비용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리스크 준비금 (Risk reserve) – 프로젝트 실행 중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예비 계정
리스크 진술 (Risk Statement) – 결과, 결과가 발생할 확률, 리스크의 기반이 된 가정 또는 과거 발생을 포함하여 가능한 리스크 사건을 설명하는 서면 진술
리스크 촉진 (Exploit risk) – 기회리스크가 확실히 실현되면 프로젝트 목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100% 발생확률을 갖도록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하고자 하는 공격적인 대응전략이다. 높은 확률과 임팩트를 미치는 “황금 기회” 확보를 위해 가장 적합한 전략이다.
리스크 추적표 (Risk track) – 리스크 모니터링 및 컨트롤 활동의 결과들을 기록하기 위한 서식
리스크 추출 (Risk elicitation) – 리스크를 도출하거나 이끌어내는 행동
리스크 컨트롤 (Risk control) – 리스크를 조정하는 조치
리스크 트리거 (Risk trigger) – 어떤 리스크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 사건이나 조건을 의미한다.
리스크 팀 (Risk team) – CRA/CEVP 팀 구성원과 고려 중인 특정 프로젝트의 리스크에 초점을 둔 프로젝트 팀 구성원
리스크 평가 (Risk assessment) – 리스크를 식별, 설명 및 분석하는 전체 프로세스. 그 목적은 식별된 리스크에 대해 합의된 우선순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일부는 평가라는 용어를 분석 또는 평가로 바꿔 쓰기도 한다.
리스크 프로파일 (Risk profile) – 모든 리스크에 대한 설명
리스크 허용도 (Risk tolerance) – 기업이 전반적인 리스크 상황을 감안할 때 편안하게 운영할 수 있는 경계를 식별한다. 고위험 내성을 가진 조직은 리스크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그 확률이나 임팩트를 실제만큼 높게 평가하지 않을 수 있는 반면, 내성이 낮은 조직은 중요도가 낮은 리스크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
리스크 회피 (Risk avoidance) – 프로젝트 목표 달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유해 리스크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변경 실행함으로써 리스크를 피할 수 있다. 모든 리스크를 피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런 대안이 너무 비싸거나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전략이다.
매개변수 견적법 (Parametric Estimation) –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또는 프로젝트 일부의 비용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과거 입찰 실적 데이터는 차로 수 km당 비용, 인터체인지당 비용 또는 평방미터당 비용 등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젝트 비용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과거 백분율을 사용하여 주요 프로젝트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세그먼트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추정 계획 및 범위 지정과 같은 초기단계의 견적 금액 추정에 자주 사용되며 상세설계단계의 견적금액보다 불확실성이 더 높다.
메타어 (Meta language) – 대상을 직접 서술하는 언어 그 자체를 다시 언급하는 언어나 심볼(symbol)로서 고차언어(高次言語)라고도 한다. 메타어의 문장이나 절의 구조는 메타문법으로 기술된다. 리스크 메타어는 “하나 이상의 원인으로 인해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렇게 구조적으로 설명하면 리스크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대응책을 개발할 때도 유용할 수 있다.
모범 사례 (Best practices) – 일반적으로 특정 산업 또는 분야에서 명시된 목표 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정된 방법이나 기술
몬테카를로 분석 (Monte Carlo analysis) – 확률분포와 확률론적 가치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에 의해 무작위로 선정된 입력 값으로 컴퓨터 모델을 여러 번 반복(iteration)하여 분석하는 기법으로 프로젝트 결과물의 가능한 영향을 나타내는 산출물이 생성 된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도 같은 개념)
몬테카를로 샘플링 (Monte Carlo sampling) – 분포 범위에 걸쳐 수많은 랜덤 시도를 사용하는 시뮬레이션 모델링 방법. Latin Hypercube는 계층화된 샘플링을 사용하는 대체 샘플링 방법이다. Latin Hypercube는 적은 샘플링 시도로도 모델에 수렴하는 경향을 갖는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Monte Carlo simulation) – 몬테카를로 분석 항목 참조
몬테카를로 방법 (Monte Carlo method) –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요소의 가변성을 통합하여 다양한 잠재적 결과를 생성해 내는 여러 개의 결과 시뮬레이션 기술
물가변동(에스컬레이션) (Escalation) – 일정 기간 동안 특정 항목 또는 작업의 비용 또는 가격 변경
미래비용 (Future costs) – 특정 프로젝트 일정에 따라 예상되는 인플레이션율에 따라 특정 시점으로 변환된 비용
미확정참작금 (Allowance 또는 Miscellaneous Item Allowance) – 일반적으로 “설계잠정금액” 또는 “미확정 예비비”라고도 부르는 미확정참작금은 아직 구체적으로 식별되거나 정량화되지 않은 다양한 예상 비용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계획 및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기본비용 견적을 준비하는 동안 프로젝트 정의상 미비점을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간혹 백분율은 아직 추정되지 않은 항목에 대한 개별 임시 수치로 자리를 잡아놓는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s)”로 사용된다. 이 항목은 용지보상 설정 또는 지장물의 사전 권리조사 이전에 용지보상 및 지장물 이설에도 사용할 수 있다.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 모수 추정값에 대한 모델링 결과의 민감도를 조사하는 기술. 한 번에 하나씩 변수를 변경하고 효과를 관찰한다.
백분위수 (Percentile) – 백분위수는 확률 추정치에서 특정 값이 초과하지 않을 확률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70번째 백분위수 값은 해당 값이 초과되지 않을 가능성이 10분의 7임을 나타낸다.
범위 변경 (Scope Changes) – 설계 및 견적의 기반이 되는 요구사항 또는 사양의 변경. 예를 들면, 프로젝트 제한, 작업 유형 또는 용량 요인(예: 교통 용량, 차로당 차량 또는 폭우 요인)에 대한 변경이 포함된다.
범위 비용 견적 (Range cost estimate) – 특정 신뢰 수준과 관련된 비용의 범위를 제공하는 견적. 각 프로젝트에 대해 수행된 기본비용 견적 및 리스크 분석의 요소에 할당된 확률 분포. 몬테카를로 기반 분석을 통해 ‘가장 있을법 한’ 결과를 결정한다.
범위 크립 (Scope creep) – 프로젝트 관리에서 스코프 크리프(요구사항 크리프 또는 주방 싱크 증후군이라고도 함)는 프로젝트가 시작된 후 언제든지 프로젝트 범위의 변화, 특히, 통제되지 않은 채 지속적으로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벤치마킹 (Benchmarking) – 결과 및 비용에 대한 시장 테스트를 통해 동등성과 가치 보장하는 행
변동성 (Variability) – 양, 크기 또는 가치가 변하는 사실이나 능력. 변동성은 사물의 고유한 특징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인스턴스의 알려진 결과에 적용된다. 데이터는 과거 입찰 데이터와 같은 샘플 통계에서 가져온다.
보증서 (Bond) – 제3자의 행위, 불이행 또는 제3자가 통제할 수 없는 우발적 상황에 의해 다른 사람에게 발생한 재정적 손실에 대한 보증을 약속하는 보험 계약
분야별 전문가 (Subject Matter Experts; SME) – 특정 분야 또는 주제에 권위있는 사람. 리스크팀을 구성할 때 참여하는 전문가를 말함.
분쟁해결 사다리 (Dispute Resolution Ladder; DRL) – 워싱턴주 교통부 파트너링의 초석 중 하나로서, 이 프로세스는 이슈의 단계적 확대라고도 불린다. DRL은 파트너링 워크숍 또는 시공 전 확대회의에서 발생하고 한다. 사다리 꼭대기가 가능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는 첫 출발선이다. 확대 계획이 두 계약당사자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면 작동된다.
분포 (Distributions) – 여러 번 반복했을 때 특정 결과값의 발생에 대한 통계 패턴. 통계적 모델링에서, 값은 모델링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는 특정 분포에 따라 정의된 범위 내에서 생성된다. 정규 분포, 균등 분포, 베타 분포, 지수 분포 등이 분포의 예이다. 이러한 분포는 발생 빈도에 대해 값이 표시될 때 특정적인 모양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정규 분포는 종 모양, 지수 분포는 수명에서 수치으 로의 곡선, 균등 분포는 직선의 수평선을 갖는다.
불가항력 리스크 (Force majeure risks) – 발생확률은 낮지만 발생시 프로젝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영향 범위를 벗어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 자연재해, 재앙적 환경피해, 정상적 작업 조건의 방해 또는 작동 방지 또는 중단. 불가항력 리스크는 프로젝트 내에서 관리하기 어렵고 종종 더 높은 수준의 관리항목으로 확대된다. “천재지변 (Acts of God)” 항목 참조
불확실성 (Uncertainty) – 특정 요소나 가치의 결과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한 불확실하고 의심스러운 상태. 알려지지 않거나 완전히 명확하지 않은 상태. 의심 또는 모호함. 불확실성은 알려지지 않은 과과 그것이 일어날 확률에 대한 마음의 상태를 반영함. 정보, 증거 및 판단에 근거한다.
비상계획 (Contingency plan) – 사건발생 이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에 대한 실행 계획
비상준비금 (Contingency) – 알맞적 상황 발생이나 불확실한 영향에 대한 검토 항목. 조건 또는 사건을 허용하기 위해 추정치/견적금액에 추가된 금액은 전체적으로 추가 비용 발생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과거 자산이나 프로젝트 경험에 기초한 통계 분석이나 판단을 사용하여 추정.
비용 (Cost) – 계약자가 계약 작업을 수행하는 데 드는 비용. 이 비용에 이익(profit)을 더하면 가격(price)이 된다. 비용은 주어진 환경에서 상황 A에서 상황 B로 이동하기 위해 투입되는 인간 노력의 경제적 가치이다.
비용견적금액 (Cost Estimate) – 자산 투자 옵션, 활동 또는 프로젝트의 범위에 필요한 자원의 수량, 비용 및 가격에 대한 예측값이다. 이 비용 견적값은 리스크와 불확실성을 다루어야 한다. 견적값은 주로 예산 책정, 비용 또는 가치 분석, 비즈니스 의사 결정, 자산 및 프로젝트 계획 또는 프로젝트 비용 및 일정 관리 프로세스를 위한 입력치로 사용된다. 비용 견적은 경험을 사용하여 결정되며 예정된 시간 프레임 내에서 리스크, 방법 및 관리의 미래 비용을 계산 및 예측한다. (출처: Copyright 2007, AACE International, Inc., AACE International 권장 관행, 번호 10S–90). 비용 견적은 리스크 및 불확실성의 통합을 포함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비용을 예측한다.
비용견적 타당성 검토 프로세스 (Cost Estimate Validation Process; CEVP) – 미국 워싱턴주 교통부(WSDOT)에서 실무에 사용하고 있는 리스크를 고려한 비용견적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최고 수준의 리스크 워크숍 프로세스. 최고 엔지니어 및 리스크관리자 팀이 교통 프로젝트 비용 및 일정이 타당하게 산출되었는지를 독립적인 제3자의 팀이 검증하는 워크숍 형태의 검증 프로세스이다. 이 팀은 민간기업과 공공 기관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팀은 프로젝트 팀과 함께 프로젝트 세부 사항을 검토한다. 많은 참가자들이 대규모 프로젝트 프로그램과 일정, 비용, 품질, 안전, 서비스 등에 대한 광범위한 경험을 갖추고 있다. CEVP 워크숍 팀은 체계적인 프로젝트 검토 및 리스크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정보의 신뢰도를 평가한다. 팀은 리스크를 식별하고 기록한다. 팀은 비용 및 일정 측면에서 리스크가 프로젝트/프로그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추정해낸다. 이 프로세스는 리스크는 리스크의 수나 그 임팩트를 완화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파악한다. 또한 활동을 촉진하여 비용 및 일정 예측을 한층 세련되게 한다. 이 프로세스는 워싱턴주 교통부의 기준에 의거 1억 달러(약 1,200억원) 이상이 되는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비용공학 (Cost engineering) – 비용 견적, 비용 컨트롤, 사업 계획 및 관리 등의 문제에 과학적 원리와 기술을 응용하는 데 사용되는 공학적 판단과 경험이 사용되는 공학 분야
비용분류체계 (Cost Breakdown Structure) – CBS는 WBS를 기반으로 생성 및 개발되며 건설프로젝트의 각 부분에 비용을 생성하고 할당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비용리스크 평가 (Cost Risk Assessment; CRA) – CEVP와 동일한 방법론을 따르는 워크숍이지만 광범위한 외부 주제별 전문 지식의 사용은 다소 완화되며, 견적타당성보다는 특히 리스크 식별과 리스크 기반 견적(Risk-based estimate)에 집중한다. 워싱턴주 교통부의 경우 CRA워크숍은 2,500만 달러(300억원)에서 1억 달러(1,200억원)사이의 프로젝트에 적용된다.
비용리스크 평가팀 (Cost Risk Assessment team; CRA team) – 일반적으로 이 팀에는 리스크 분석가, 비용 산정 전문가 및 프로젝트 팀과 공동으로 작업하는 분야별 전문가(SME)가 포함된다(원가 리스크 평가 (CRA) 참조).
비용 리더 (Cost leader) – 리스크평가 워크숍에서 비용 견적 검토를 주도한다. 직무에는 리더십, 촉진, 준비, 문서화가 포함된다. 후속활동, 워크숍 결과의 조정, 기술 보고서 작성, 프로세스 평가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젝트의 새로운 시나리오 평가에 참여할 수 있다.
비용산출기준 (Basis of Cost Estimate) – 비용 견적금액이 생성된 정보에 대한 집합적 용어
비용 팀 (cost team) – CRA/CEVP 팀 구성원과 고려 중인 특정 프로젝트의 비용에 중점을 둔 프로젝트 팀 구성원
사전 설계 (PE) – 환경, 최종 설계 및 R/W를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전 건설 노력. “설계”라는 용어는 PE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사전 추출 인터뷰 (Advance Elicitation Interviews, AEI) – 다가올 리스크평가 워크숍(CRA/CEVP) 전에 진행되는 리스크 추출 인터뷰 (미국 WSDOT에서 사용하는 용어)
3점 비용 견적 – 합리적으로 낙관적인 경우,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경우 및 합리적으로 비관적인 경우 등 세 가지 추정치를 제공하는 비용 견적
상관관계 (Correlation) – 두 개의 불확실한 변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통계적 측정. “상관계수”로 표시되며 범위는 -1에서 +1임. 특정 변수간의 관계 정도나 연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1 또는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간의 선형 관계가 더 강해진다. 0은 선형 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양수는 두 변수가 일치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상관관계를 의미하며, 음수는 한 변수의 높은 값이 다른 변수의 낮은 값을 수반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온도계의 온도와 유체에 있어 따뜻해지면 유체가 상승하여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관찰된 상관관계만으로 변수 간의 인과관계(원인과 효과 관계)를 가정해서는 안된다. 상관관계는 인과 관계와 무관하다.
상향식 비용 견적법 (Bottom–up Cost Estimating) – 영국 IPA 가이드에서 제1원칙 비용 견적법 (first principles cost estimating) 이라고도 하며, 상당히 자세하게 필요한 자원(예: 노동, 자재, 장비 등)을 분석하여 생성된 상세한 분석적 비용추정 방법이다.
선제적 리스크 대응 (Proactive risk response) – 리스크의 발생확률 또는 임팩트를 줄이거나(그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기회의 발생확률 또는 임팩트를 증가시키는 (발생시키는) 동작 혹은 일련의 동작이다. 승인과정을 거치면 사전 리스크 대응은 리스크 발생 전에 수행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예산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게 된다.
선후행도형법 (Precedence Diagramming Method(PDM)) – 선후행도형법은 일정활동을 상자 모양(또는 노드)으로 표시하는 일정네트워크도 기법. 일정활동들은 논리적 관계에 의해 도표로 연결되어 수행할 활동의 순서를 보여준다.
설계 변경 컨틴전시 (Change order contingency) – 시공 중 예상되는 설계변경 비용을 지불하는 데 사용되는 예산 금액으로, 일반적으로 시공 견적에 추가되며 총 엔지니어 견적의 구성 요소인 총 설의 비용의 백분율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WSDOT의 경우 설계·시공 분리 입찰 방식(design–bid–build)의 경우 프로젝트의 경우 약 4% 정도를 적용하고 있다.
성능 측정 기준 (Performance measurement baseline) – 성능을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프로젝트 실행을 비교하는 프로젝트 작업에 대해 승인된 통합 범위 일정 비용 계획, 기술 및 품질 매개 변수도 포함될 수 있다.
수동적 수용(Passive acceptance) – 리스크 수용 방법 중 하나이다. 궁극적으로 모든 위협 리스크를 제거하거나 모든 기회를 활용할 수는 없다. 우리는 그것들을 인식하고 문서화할 수 있으며 최소한 그러한 리스크가 존재하고 식별되었다는 것을 인지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이것을 우리는 “수동적 수용(Passive acceptance)”이라고 한다.
시공 컨틴전시 (Construction contingency) – 시공 중 발생하는 수량, 단가 및 경미한 리스크 사건이 내재된 불확실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하게 발생할 때 집행하기 위해 계약서 지급할 수 있도록 마련해 놓은 예비비
시공 계약 비용 (CN) – CN은 건설 엔지니어링 비용을 제외한 낙찰받은 계약자의 비용만을 말한다.
시공 관리 원가 (Construction administration costs) – 시공 단계에서 요구되는 건설 및 지역 사회 봉사 활동 등의 관리, 사업유지관리, 보고, 설계 서비스의 기준 원가
시공 엔지니어링 (CE) – 프로젝트 종료시까지 시공 계약을 관리하는 총 시공 관리 노력이다.
시나리오 기반 – 프로그램 기준선에 대해 부작용이 발생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영향을 추정하는 데 있어 비용 효과로부터 프로그램을 보호하는 데 필요한 예비비 규모 평가. 현실적이고 그럴듯한 사건을 반영하는 시나리오 생성한다.
시스템 리스크 – 이 리스크는 산업, 회사 또는 프로젝트 시스템, 문화, 전략, 복잡성, 기술 또는 이와 유사한 포괄적인 특성의 인공물에 내재된 불확실성(위협 또는 기회)
시장조건 (Market conditions) – 시장 경제에서 가격과 수량을 결정하는 수요와 공급 요소의 결과(인플레이션과는 구별해야 함). 시장 조건에는 입찰 환경, 노동 시장, 자원 가용성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숙련 노동자의 활용 가능성”, “시장 수요가 높아서 철강 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입찰자가 수가 적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경쟁이 줄어들어 가격이 높아질 수 있다”, “작업의 유형, 크기, 조건 등이 입찰자의 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입찰자와 입찰공고 타이밍의 영향”
리스크 기반 견적(Risk-based Estimate)을 위한 WSDOT의 자체 모델링 도구에서 시장조건을 포함하는 방법의 예가 있다. 시장조건이 양호할 경우 (확률 10%, 임팩트 10%), 시장 조건이 안 좋을 경우 (확률 20%, 임팩트 20%).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 불확실성의 표현. 주어진 범위 내에 실제 값이 포함될 가능성. 신뢰도를 예측할 때 수준은 모형 모수의 추정치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나타내며 예측 구간은 예측의 불확실성을 나타낸다(예측구간(prediction interval) 참조).
실제 비용 (Actual cost) – 일정 활동 또는 작업 분류 구조(WBS) 구성요소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수행된 작업을 실제로 수행하는데 발생되고 기록된 총 비용. 실제 비용은 때때로 직접 노동시간, 직접비 또는 간접비를 포함한 모든 비용이 되기도 한다. 실제 수행된 작업비용(ACWP)이라고도 한다. (이윤(profit) 미포함)
실무설계 (Practical design) – 핵심 목적과 필요성만을 위하여 프로젝트 범위를 좁히는데 중점을 둔다. 기관은 불필요한 프로젝트 설계 요소를 제거하고 비용을 낮추고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려되는 사항은 이러한 결정이 다른 목표(예: 안전 및 운영 성능, 상황 민감성, 생애주기비용, 장기건전성, 재준 가능성 및 지속 가능성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 없이도 단기 비용 절감에 매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관은 PBPD(성능기반의 실용적 설계) 접근 방식을 통해 보다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PBPD는 교통계획 결정권자가 프로젝트 및 시스템 목표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 조건에서 개선 사항을 구축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판단을 수행하는 ‘설계’ 방식에 대한 전통적인 설계방식을 수정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출처: FHWA(WSDOT)
알 수 없는 리스크 (Unknowable risks) – 완전히 예상할 수 없고 예측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리스크(예: 2003년 대 정전)
알려진 리스크 (Known risks) – 프로젝트에 관련된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프로젝트 계획 활동 초기단계에 입증이 되는 리스크
알려지지 않은 리스크 (Unknown risks) – 매우 제한된 사람들에 의해서만 알려진 것으로 프로젝트 계획 활동에서 특별히 신경 쓰지 않으면 잘 인식되지 않는 리스크
에스컬레이션 (Escalation) – 기준선(Baseline) 보다 비용의 증가, 수요/공급, 환경 및 엔지니어링 변화와 같은 기타 영향의 조합으로 인해 특정 상품,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이로 인한 작업 또는 해당 하위 요소의 총 연간 비용증가율. 에스컬레이션율은 인플레이션과 시장 상황 및 기타 유사한 요인의 영향이 포함된다(인플레이션(inflation) 참조).
엔지니어 견적 (Engineer's estimate) – 본 용어는 입찰 시점의 견적(계획 준비 매뉴얼에서 계약 견적이라고 함)을 의미하는데 자주 사용되지만 일부는 설계단계에서 수행한 모든 견적을 의미하는데도 사용된다.
연방고속도로관리청 (FHWA) – 미국의 고속도로 계획 및 프로그램 자금을 지원하는 미국국토부(USDOT)의 산하 부서
연방조달규정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FAR) – 미국의 연방차원에서 공공조달계약에 의한 기본법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1940년대 초의 미국 연방조달시스템은 대부분 남북전쟁 시기로부터 형성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 1947년 국방조달법(Armed Services Procurement Act)과 1949년에 연방재산 및 행정서비스법(Federal Property and Administrative Services Act)이 제정되었다. 계약 후 VE를 통한 변경제안제도인 VECP제도가 규정되어 있다.
예측구간 (Prediction interval) – 특정 수준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미래 예측값이 이 신뢰구간 안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되는 범위.
예를 들어 90% 예측구간은 실제 예측기간이 이 구간 내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되는 확률이 90%이다.
예측 정확도 (Forecast accuracy) –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
오컴의 면도날 (Occam's Razor 또는 Ockham's Razor) 법칙 –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복잡함을 도입해서는 안된다는 규칙.
“더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는 일을 더 많이 하는 것은 헛된 일이다” (WSDOT)
완화 (Mitigation) – 바람직하지 않은 리스크 사건의 임팩트를 줄이기 위한 조치. ‘완화’라는 용어는 종종 위협 리스크에 대한 모든 대응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지만 일부 실무자들은 이 용어를 구체적으로 사전 리스크 대응으로 다른 일부는 사후 리스크 대응으로 쓰기도 한다.
용지보상 단계 (Right–Of–Way(ROW) Phase) – 이 노력은 기존 계획의 수정 또는 설계 단계에서 정의된 새로운 방식의 필요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새로운 계획 준비가 포함된다. 또한 부동산 사무소에 의한 새로운 용지보상의 평가, 협상 및 구매도 포함된다. 용지보상비는 범위 지정 도중, 설계 완료 후 또는 중간에 언제든지 시작할 수 있다. 본 단계의 종료는 용지보상비가 인정된 시기이지만 용지보상비가 인정되지 않으면 착공이 안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건설 단계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수 있다. 프로젝트가 입찰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모든 새로운 권리를 취득해야 한다.
용지보상비용 (Right of Way Cost, R/W) – 프로젝트에 필요한 용지를 확보하는 데 드는 비용이다. 지장물 이설비용은 지장물의 사전 권리를 대체하는 데 필요한 지역권 및 수수료 취득을 제외하고 프로젝트의 용지보상비용의 일부이다.
워크숍 (Workshop) – 특히 특정 분야의 기술과 스킬에 초점을 맞추는 비교적 소수의 사람들을 위한 일반적으로 짧고 집중적인 교육 프로그램. CRA/CEVP 워크숍 – 공식적 워크숍으로서, 견적을 통해 구한 기준 원가(base cost)를 면밀하고 엄격하게 검토하고 프로젝트와 관련된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식별 및 구체화하기 위한 프로젝트 팀과 분야별 전문가(SME) 간의 협력적 노력을 말한다. 비공식 워크숍은 프로젝트 팀(또는 주요 프로젝트 팀 구성원)으로 구성되며, 프로젝트 관리자/프로젝트 팀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다른 참가자가 포함될 수 있다.
원가 기반 견적 (Cost–based estimating) – 견적작업을 할 때, 시간, 장비, 노무, 하청업체, 자재, 간접비, 이익의 총 7가지 기본 요소를 고려하여 견적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작업 명세서 및 도면 또는 사양 세트는 프로젝트 입찰 항목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각 개별 작업에 필요한 자재 수량을 “추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수량에서 직접 노무비, 재료비 및 장비 비용을 계산되거나 가정된 생산성을 기반으로 계산한다. 그런 다음 계약자의 간접비와 이익이 이 직접 비용에 추가된다.
원가성과지표 (Cost Performance Index) – CPI = 원가성과지수(CPI)는 예산자원의 원가효율을 측정하는 지수로, 획득가치(EV) 대비 실제원가(AC)의 비율로 표시한다.
원가성과지수(CPI)는 가장 EVA 지표로 간주되며, 완료된 작업에 대한 원가 효율을 측정한다.
원가성과지수(CPI)값이 1.0 미만이면 완료된 작업의 원가 초과를 의미한다.
원가성과지수(CPI) 값이 1.0보다 크면 지금까지 성과 대비 원가절감을 의미한다.
원가성과지수(CPI)는 실제원가(AC) 대비 획득가치(EV)의 비율로 산출한다.
방정식: CPI = EV/AC.
위협, 위험리스크 (Threat) – 프로젝트 목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사건의 리스크
유사사례추론 견적법 (Analogy cost estimating) – 이 견적법은 유사프로젝트의 비용이 비슷하다고 보고 과거 프로젝트를 사용하여 비용견적 금액을 산출한다.
완성도가 높고 반복적인 프로젝트에 유용한 견적접이다.
유추 (Analogy) – 상황의 유사성. 예측자는 주어진 상황에서 예측할 때 유사한 상황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추측할 수 있다.
의원성 리스크 (Iatrogenic risk) – 의사나 외과의사 또는 의학적 치료 또는 진단 절차에 의한 부주의로 유발된다. 리스크 분석에서 심각한 위험리스크나 기회리스크를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몬테카를로의 너무 많은 요소에 확률밀도함수 할당을 포함하다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잘못된 리스크 분석 실무로 인해 발생하는 실제 리스크의 과소평가(또는 과장) 분석 또는 범위 추정, 리스크 분석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요소 간의 독립성을 잘못 가정하거나 입력 요소의 범위를 적절하게 정량화하지 못하는 경우 등 다양하게 발생(2차 리스크 참조)
이력 정보 (Historical information) – 프로젝트 파일, 기록, 서신, 마감 계약 및 마감된 프로젝트를 포함한 이전 프로젝트에 대한 문서 및 데이터 (WSDOT)
이슈 등록부 (Issue register) – 리스크 모니터링 및 컨트롤활동 과정에서 도출된 새로운 이슈들을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서식
이익 (Profit) – 넓은 의미에서 프로젝트 이익은 모든 비용을 지불한 후에 남게 되는 비용을 뜻 한다.
특정 계약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익은 계약자가 본인 부담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비용을 의미한다.
이익이 있어야 특정 계약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가치가 있으며 계약 업무를 수행한 것에 대한 보상이 된다.
즉, 가격 = 원가+이익
2차 리스크 (Secondary risk) – 리스크 대응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하는 리스크(의원성 리스크(Iatrogenic risk) 참조)
인적자원계획 (Human resource planning) – 프로젝트 역할, 책임 및 보고 체계를 식별 및 문서화하고 인력관리계획을 작성하는 프로세스
인지 편향 (Cognitive bias) – 사람들이 주변 세계의 정보를 인식, 처리 및 해석할 때 발생하는 지각, 회상 및 사고의 체계적인 오류로, 결정과 판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계류편향/확증편향/정상편향/권위편향/프레이밍 효과/동기편향/가용성편향/휴리스틱/낙관편향 참조).
인플레이션 (Inflation) – 가격과 명목 임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 인플레이션은 적절한 가격 지수에서 시간에 따른 비례적인 변화에 의해 측정된다.
이용 가능한 상품과 서비스에 비해 돈과 신용의 양이 증가하여 일반적인 가격 수준이 계속 상승한다.
일정 (Schedule) – 예정일, 기간, 마일스톤 및 자원과 해당 활동을 연결하여 보여주는 일정 모델이다.
일정성과지수 (Schedule Performance Index) – 일정성과지수(SPI)는 획득가치(EV) 대비 계획가치(PV)의 비율로 표시되는 일정 효율의 척도이다.
이것은 프로젝트 팀이 작업을 완수하는 효율로 측정된다.
이 지수는 원가성과지수(CPI)와 함께 사용하여 프로젝트 완료시점 산정치를 예측하기도 한다.
일정성과지수(SPI) 값이 1.0 미만이면 수행된 작업량이 계획에 미치지 못함을 의미한다.
일정성과지수(SPI) 값이 1.0보다 크면 수행된 작업량이 계획을 초과함을 의미한다.
일정성과지수(SPI)는 모든 프로젝트작업을 측정하므로 프로젝트가 예정 종료일보다 단축될지 또는 지연될지 판단하려면 주공정의 성과도 분석해야 한다.
일정성과지수(SPI)는 계획가치(PV)에 대한 획득가치(EV)의 비율로 산출된다.
방정식: SPI = EV/PV.
PMBOK 6th Edition에서 실제 일정 축의 효율의 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제 시간(Actual Time)과 ES(Earned Schedule)을 곱하기 위해 쓰였음.
방정식: SPI = ES/AT.
임팩트 (Impact) – 리스크 사건이 발생할 경우 프로젝트 목표에 미치는 영향
입찰 환경 (Bidding environment) – (시장조건(Market Condition) 참조)
입찰 기반 견적 (Bid–based estimating) – 또는 입찰 이력 기반 견적(Historical bid–based estimating)은 항목 비용을 결정하기 위해 수량 및 우수한 과거 입찰 데이터와 함께 요소, 입찰 항목 또는 두 가지 모두에 크게 의존하는 견적 방법이다.
과거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최근 프로젝트의 입찰가를 기반으로 한다.
견적전문가는 현재 프로젝트의 특성과 위치에 맞게 과거 데이터를 조정해야 한다.
과거 데이터도 현재 가치를 반영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과거 입찰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견적전문가가 쉽고 빠르게 견적을 준비할 수 있다.
있을 수 있는 확률 (Likelihood) – 어떤 일이 일어날 확률
작업 범위 (Scope of work) –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작업과 활동 정의. 작업의 맥락과 경계를 의미한다.
작업 일정 (Schedule of works) – 수량, 설명 및 측정 단위와 함께 비용을 계산한 항목 목록. 데이터의 완성도에 따라 세부적으로 합의된 방법론 및 작업 분류 구조(WBS)에 대해 정의된다.
작업분류체계 (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팀에서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생산하기 위해 수행할 전체 작업 범위를 계층 구조로 더 작고 관리가능하게 분해하여 작업 패키지(Workpackage)로 세분화된 체계이다. 분해 후 비용을 추정할 수 있다.
잔류 리스크 (Residual risk) – 리스크 대응 조치가 구현된 후 남아있는 리스크.
적극적 수용 (Active acceptance) – 리스크 수용 방법 중 하나이다. 경우에 따라, 일부 산업에서는 수용된 종종 잔류리스크를 처리하기 위해 컨틴전시 준비금이 포함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적극적 수용(active acceptance)”이라고 한다.
전문가 의견 (Expert opinion) – 리스크모델의 정량화를 위해서 적합한 사람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한다. 검증을 위한 판단이 필요한 복잡한 프로젝트를 다룰 때 유용하다. 이 방법에 대한 주요 비판은 주관적인 성격(판단에 판단)이므로 상호 크로스로 참조하는 독립적 평가가 권장됨.
전문가 판단 (Expert judgement) – 판단을 수행 중인 활동에 적합한 응용분야, 지식 영역, 학문, 산업 등에 대한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전문지식은 전문교육, 지식, 기술경험 또는 교육을 받은 그룹 또는 개인이 제공할 수 있으며, 수행 조직 내의 다른 단위, 컨설턴트, 이해관계자, 고객, 전문기술협회, 산업 그룹 등 다양한 곳에서 얻을 수 있다.
전사적 리스크관리 (Enterprise Risk Management; ERM) – 기업의 비즈니스 리스크를 관리하고 목표 달성에 관련된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조직에 의해 사용된 방법과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다. ERM은 일반적으로 조직의 목표(위험 및 기회)와 관련된 특정 이벤트 또는 상황을 식별하고, 가능성 및 규모에 따라 평가하고, 대응 전략을 결정하며,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하는 리스크관리를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한다. 비즈니스 기업은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고 사전에 해결함으로써 소유자, 직원, 고객, 규제 기관 및 사회 전반을 포함한 이해 관계자를 위한 가치를 보호하고 창출한다.
전진계산 (Forward Pass) – 전진계산은 모든 네트워크 활동의 완료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빠른 개시일 및 빠른 종료일을 계산하는 것.
정상 편향 (Normalcy bias) – 사람들이 위험 상황의 심각성이나 그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인지적 편향. 과민 반응(over-reacting)의 반대말. 타이타닉이 침몰하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어서 사건에 대한 준비가 미흡했고 승객들은 대응하기를 꺼려한다. 워크숍 설정에서 이것은 그룹이 더 쉽게 논의하고 중요도가 낮은 리스크에 주의를 기울이고 더 심각한 리스크는 회피하는 경향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사람들은 문제를 찾아 나서거나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거나 그것에 대해 생각하거나 계획하는 것을 꺼린다. 부정적인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일부 사람들에게 불쾌하거나 나쁜 형태로 간주되며,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팀이 프로젝트의 성공에 대한 배신행위로 여겨진다.
정확도 (Accuracy) –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예측 정확도)
정확도 범위 (Accuracy range) – 최종 실제 비용 또는 일정에 대한 추정치의 예측 근접성의 표현. 일반적으로 실제 결과가 이 백분율이 나타내는 신뢰 구간과 함께 추정치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높은 혹은 낮은 백분율로 표시된다(참조: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범위(range)).
제1원칙 견적법 (First principles estimating) – 작업분류구조(WBS)의 모든 작업 패키지(또는 활동)에 대한 비용 견적서를 작성하고 이를 요약하여 필요한 비용 또는 노력의 총 비용 견적금액을 산출하는 방식의 비용 견적 기법(영국, 호주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임)
주공정 (Critical Path) – 공정 경로(Critical Path)는 여유기간(float)이 ‘0’인 활동을 연결한 최소 경로를 말한다. 이를 통해 얻어지는 빠른 시작일 늦은 시작일 혹은 종료일의 일정 개발을 위해 반드시 쓰이지는 않는다. 주공정법에서는 어떠한 활동이 최소 일정상 여유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여유기간(Float, Slack)을 계산한다.
주공정 방법 (Critical Path Method; CPM) – 주공정법은 프로젝트 일정의 최단기 기간(일자 혹은 시간)을 결정하고 일정 모델 내의 논리적인 네트워크 경로상 유연성이 허락되는 기간을 결정하는 일정 네트워크 분석기법이다.
주공정법의 전진계산법(Forward pass)과 후진계산법(Backward pass)을 통해 가장 빠른 시작일(ES, Early Start), 빠른 종료일(EF, Early Finish), 늦은 시작일(LS, Late Start), 늦은 종료일(LF, Late Finish)을 계산한다.
주공정법은 전체의 일정네트워크 경로 중에서 가장 긴 경로를 찾아내는 활동으로 프로젝트를 최단 기간 내 끝낼 수 있는 기간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준공예정견적 (Estimate to Complete(ETC)) – 프로젝트의 나머지 모든 작업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비용. 프로젝트의 나머지 작업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예상자금. 남은 프로젝트 작업에 필요한 자금을 예측하는데 중요
준공시점의 예정 총사업비 (Estimate at Completion(EAC)) – 정의된 작업의 범위가 완료될 때 프로젝트의 예상 총 비용
중대한 리스크 (Material/Critical Risk) – 프로젝트의 연속성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이러한 리스크는 문서화하고 따로 처리해야 하며 프로젝트 리더에게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별개의 건으로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유사 용어로 “폭발 위험(blowout risks)”, “쇼 스토퍼 리스크(show–stopper risks)”, “삭제 표시 리스크(tombstone risks)” 또는 “검은 백조 사건(black swan events)”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지출년도 (YOE) – 지출년도. 프로젝트 작업 요소를 완료하기 위해 금액이 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연도
지출년도 달러 (Year Of Expenditure dollars) – 건설 프로젝트의 견적.
WSDOT은 일반적으로 추정연도 비용을 현재 년도 달러로 가격화하여 예상 건설 또는 활동 중간점으로 평창/확장/시켜서 예상 YOE 비용을 예측한다.
직접비 (Direct cost) – 플랜트, 장비, 자재 및 노동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프로젝트 요소와 직접 관련된 모든 계약자의 비용.
책무 (Accountability) – 책무의 질과 상태, 특히, 책임을 받아들이거나 자신의 행동을 설명할 의무 또는 의지(리스크에 대한 대응계획수립, 모니터링, 컨트롤 등을 위한 책무를 가지는 사람을 리스크관리자라고 한다.)
총 프로젝트 비용 (Total Project Cost) – 총 프로젝트 비용은 프로젝트에 할당된 모든 비용을 반영한다. FHWA에서는 프로젝트 비용을 다음의 범주로 세분화 한다 : PE + R/W + (CN+CE). FHWA에는 CN과 CE가 단일 비용으로 포함되지만 여기서는 CN과 CE는 분리된다.
천재지변 (Acts of God) – 인간의 간섭 없이 자연력에 의해 야기되는 필연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심각한 사건, 그리고 보험에 가입된 당사자가 지진, 홍수, 허리케인, 번개, 눈보라와 같은 통제력을 갖지 못하는 사건. 신의 행위는 건설 수 없는 사고와 계약 불이행에 대한 타당한 변명이 된다. 자연재해라고도 한다(“불가항력 리스크” 참조).
최종예상비용 (Anticipated Final Cost; AFC) – 프로젝트 완료 전에 비용 추정이 이루어진 시점의 리스크 노출을 고려하여 지금까지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리스크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추정한 최종 비용 예측 결과
최종 원가 (Ultimate cost) – 모든 외부 비용, 리스크 및 기회 사건의 변경 및 해결을 포함하여 모든 작업을 완료하였을 때 투입된 실제 원가
최종 일정 (Ultimate schedule) – 모든 외부 비용, 리스크 및 기회 사건의 변경 및 해결을 포함하여 모든 작업을 완료하였을 때 든 실제 일정
추출 (Elicitation) – 도출하거나 이끌어내는 행동
충격 (Surprise) – 전혀 예상치 못한 사건이 실제 발생한 후의 상황. 초기 발생확률에서는 예상되는 프로젝트 일정의 추정범위 훨씬 밖에 존재하게 되어 프로젝트에 큰 충격을 주게 된다.
커뮤니케이션 계획 (Communications plan) – 조직 활동(전략, 프로그램, 프로젝트 또는 운영)중 수립되고 유지될 커뮤니케이션 활동 계획. 일반적으로 정보가 언제, 무엇을, 어떻게, 누구와 함께 하는지 포함한다.
컨시퀀스 (Consequence) –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의 결과. 임팩트와 동의어임.
컨트롤 (Control) – 리스크를 유지 및/또는 수정하는 조치. 컨트롤에는 리스크를 유지 및/또는 수정하는 프로세스, 정책, 장치, 실무 또는 기타 조건 및/또는 조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다른 방법도 가능).
크기(영향력) (Magnitude) – 사건과 관련된 결과의 예상 기대값
토네이도 다이어그램 (Tornado diagram) – 데이터 범주가 세로로 나열되고 범주가 정렬되어 가장 큰 막대가 차트 상단에 표시되고 두 번째로 큰 막대가 상단에서 두 번째로 나타나도록 만든 막대 차트. 프로젝트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량적 리스크 분석 모델의 각 요소에 대해 계산된 상관 계수를 나타내는 민감도 분석의 표현. 항목은 상관관계의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전형적인 토네이도 모양으로 나타난다.
팀 (Team) – 공동 목표와 공동 보상을 위해 상호 의존하여 일하는 두 명 이상의 사람들
팀 관리 (Team management) – 개인 또는 조직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인 그룹을 관리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 팀 관리에는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목표 설정 및 성과 평가가 포함된다
팀 빌딩 (Team building) –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고 팀 내에서 역할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활동을 총칭하는 용어로 종종 공동작업이 포함된다.
편익비용비 (Benefit-cost ratio)
현재 추정된 프로젝트 편익 대비 현재 예상된 프로젝트 견적비용의 비율. 비율이 1.0 이상인 경우 프로젝트는 수행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편향 (Bias)
합리적으로 보지 못하는 기질이나 전망 및 성향. 특히 개인적이며 때로는 비합리적인 판단(참조: 인지편향 cognitive bias).
품질 검증 (Quality Verification; QV)
객관적 증거를 사용하여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는지 확인한다. 국가 설계 엔지니어 또는 피지명인의 관할하에 HQ 프로젝트 개발에 사용된 조치, 절차 및 방법을 참조하여 품질 관리 계획이 구현되고 적절한 프로젝트 개발 프로세스가 준수되고 반영되도록 최종 제품을 선택적으로 검토한다. 이 조치에는 엔지니어링 오류와 관련된 시공 단계의 현재 추세를 기반으로 일부 프로젝트에서 90%의 대상 PS&E 검토도 포함된다.
품질 제어 (Quality Control; QC)
결과의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 출현 샘플을 테스트하여 표준을 유지하기 위해 확립된 시스템. 원하는 품질의 전문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작업 제품을 개발하는 동안 프로젝트 엔지니어의 관할 하에 생산 및 관리 수준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조치, 절차 및 방법을 말한다.
품질 보증 (Quality Assurance; QA)
올바른 방식으로 올바른 일을 하도록 보장한다. 프로젝트 밀도의 각 단계에 참여하는 설정 프로세스. 프로젝트 엔지니어(또는 품질 관리자)의 관할 하에 관리 수준에서 사용되는 조치, 절차 및 방법을 참조하여 신중한 품질 관리 절차가 확립되어 수행되고 있으며, 원하는 결과를 관찰하고 보장한다. 품질 관리 계획에 따라 양질의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품질 비용 (Cost of quality)
품질을 보장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결정한다. 예방 및 평가 비용(적합 비용)에는 품질 계획, 품질 관리(QC) 및 요구 사항(예: 교육, QC 시스템 등) 준수를 보장하는 품질보증비용이 포함된다. 실패 비용(부적합 비용)에는 비준수 제품, 구성 요소 또는 프로세스의 재작업 비용, 보증 작업 및 납비용 및 평판 손실이 포함된다.
프레이밍효과 (Framing effect)
발표자가 의식적으로든 아니든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에 따라 의사결정에 영향을 받는 인지 편향(cognitive bias)이다. 강조 표시된 기능에 따라 열등한 옵션이 더 최적화된 옵션보다 우선할 수 있다. 팀 구성원은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중립을 유지하고 정보나 아이디어를 받을 때 이러한 효과를 고려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프로그래밍 (Programming)
자금 지원을 승인할 수 있도록 정확한 비용 견적 및 지출 계획을 가지고 우선 순위가 지정된 프로젝트 목록을 개발하는 프로세스. 이 활동의 핵심은 다양한 프로그램 및 하위 프로그램 범주(보존 및 개선), 안전, 이동성 등에서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자 (Project manager)
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해 팀을 이끌도록 지정된 사람. 프로젝트 관리자는 프로젝트에 정인된 목표와 고객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문 지식, 기술, 도구 및 기술을 적용한다.
프로젝트관리지식체계 (PMBOK)
PMI의 지침서. 현재 7판까지 발간되었다.
프로젝트 관리협회
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Inc.
프로젝트별 리스크 (Project-specific risk)
프로젝트별 리스크는 프로젝트 범위에 특정되는 이벤트, 조치 및 기타 조건과 관련된 불확실성(위협 또는 기회)과 관련된 리스크이다.
프로젝트 비용 범위 (Project Cost Range)
예상 비용의 불확실성은 프로젝트 비용 범위의 형태로 전달된다. 정량적 리스크 분석이 수행된 경우 범위는 낮은 추정치의 경우 10번째 백분위수로 보고되고 높은 추정치의 경우 90번째 백분위수로 보고된다. 정성적 리스크 평가의 경우 범위는 낮은 추정에 대한 기본비용 및 높은 추정에 대한 (기본비용 + (기본비용 * 리스크 허용치))로 보고된다.
프로젝트 수행목표 (Project objectives)
프로젝트 성공 정도를 평가할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에 대한 기술
프로젝트 예산 (Project Budget)
기본비용 추정치에 비상준비금을 더한 금액이다.
프로젝트 비용 (Project cost)
프로젝트 팀 견적에서 제시된 비용
프로젝트 일정 (Project schedule)
프로젝트 팀 견적에서 제시된 일정
프로젝트 팀 (Project team)
고려 중인 특정 프로젝트를 대표하는 팀
하향식 견적법 (Top–Down estimating)
위에서부터 비용 결정 매개변수법이 대표적인 하향식 견적법임 (수정해야)
허용도 (Tolerance)
측정이 달라질 수 있는 총 허용량. 최대 한계와 최소 한계의 차이
현장개설비용 (Mobilization)
총 건설비용 추정치의 백분율로 계산되는 현장개설비용은 시공자의 사전 건설비용과 준비작업 및 운영비용(예: 현장 장비이동 및 준비)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추정치에 해당한다.
형상(상태) 관리 (Configuration management)
제품 성능, 기능 및 물리적 속성의 일관성, 요구 사항, 설계 및 운영 정보와 수명의 일관성을 확립하고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화살도형법 (Arrow Diagramming Method, ADM)
화살도형법은 네트워크도를 작성하는 기법으로써, 각각의 활동을 화살표로 표시한다. 화살표의 꼬리는 활동의 시작을 나타내며 화살표의 머리는 활동의 종료를 나타낸다(화살표의 길이가 특정 활동의 예상기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님). 활동들은 노드(일반적으로 작은 원으로 표시됨)라고 하는 곳에서 연결되어 활동의 수행이 예상되는 순서를 보여준다.
확률 (Probability)
특정 리스크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추정치이며 일반적으로 01 또는 0100% 척도로 표시된다.
확증 편향 (Confirmation bias)
자신의 이전 신념이나 가치를 확인하거나 지지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검색, 해석, 선호 및 회상하는 경향. 사람들은 반대 정보를 무시하고 자신의 견해를 지지하는 정보를 선택하거나 모호한 증거를 자신의 기존 태도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때 이러한 편향을 나타낸다. 이 편향의 효과는 원하는 결과, 감정적으로 충전된 문제 및 깊이 뿌리내린 신념에 대해 가장 강력하게 나타난다. 확증 편향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지만 비판적 사고 기술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관리 가능.
활동 (Activity)
프로젝트 과정에서 수행되는 작업구성 요소
활동 기간 (Activity duration)
일정 활동 시작과 종료 사이의 일정 단위 시간
획득가치관리 (Earned Value Management)
객관적인 방식으로 프로젝트 성과 및 진행 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젝트관리 기법 중 하나이다.
효과 측정 (Measures of effectiveness, MOE)
특정 목표의 달성 정도를 반영하는 측정 또는 테스트. 효과 측정(MOE)은 경쟁 대안을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MOE를 성과 측정이라고도 부른다.
후진계산 (Backward Pass)
후진계산은 완료되지 않은 네트워크의 모든 활동에 대한 늦은 종료일과 늦은 개시일을 계산하는 방법. 프로젝트 종료일로부터 네트워크의 논리에 따라 역산하여 결정된다. 종료일은 전진계산(Forward Pass)을 통하여 결정되거나 고객 또는 후원자가 결정할 수도 있다.
휴리스틱 (Heuristic)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경험에 기반을 둔 기술을 사용하는 것. 실용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문제해결이나 자기 발견에 대한 모든 접근 방식으로서, 최적, 완벽 또는 합리적으로 보장되진 않지만 대신 즉각적인 목표에 도달하기에 충분하다. 휴리스틱은 결정을 내리는 데 따른 인지적 부담을 덜어주는 정신적 지름길이다. 예를 들면 교육에 기초한 추측, 직관적 판단, 프로파일링 또는 상식이 있다. 이것은 개인의 즉각적, 본능적, 기본적, 문제 해결 또는 의사 결정 방법이 된다. 고유한 프로젝트 평가/분석 환경에서 휴리스틱 방법에만 의존하게 되면 리스크를 식별하지 못하거나 리스크의 확률 및/또는 그 임팩트를 부정확하게 결정하는 것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과거에 항상 잘 작동했던 것이 항상 현재에도 최적이 아닐 수 있다(가용성 휴리스틱 및 인지 편향 참조).
흐름도 작성 (Flowcharting)
시스템 내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입력, 프로세스 조치 및 출력을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
AC (Actual Time) – 진도측정일 기준 완료작업의 실제 시간(일정)
Actual Cost (AC) – 진도측정일 기준 완료작업의 실제 지출원가
Actual Time (AT) – 진도측정일 기준 완료작업의 실제 시간(일정)
@RISK – 재무에서 공학에 이르기까지 불확실성에 직면한 문제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광범위한 모델링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RISK는 기업과 개인컨설턴트 모두 가능한 시나리오에 대한 현실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기업이 처해 있는 리스크를 완화할 뿐만 아니라 성장 기회를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Budget At Completion Cost (BACc) – 완료계획예산
Budget At Completion Time (BACt) – 완료계획예산 달성까지의 시간(일정)
Budget At Completion (BAC) – 완료계획점, BACc 와 BACt 교차점
CEVP 팀 (Cost Estimate Validation Process team; CEVP team) – 원가 견적 타당성 검증 프로세스의 업무를 맡는 CEVP 팀에는 일반적으로 리스크 분석가, 비용 견적 전문가 및 프로젝트 팀과 협력하여 작업하는 관련 분야별 전문가인 SME가 포함된다.
(원가 견적 타당성 검토 프로세스 참조)
CP (Critical Path) – 주 공정 (Critical Path) 참조
CPM (Critical Path Method) – 주 공정 방법 (Critical Path Method; CPM) 참조
CRA Team (Cost Risk Assessment team) – 원가 리스크 평가팀 참조
CRAVE Approach – 미국 HDR사가 VE팀과 CRA팀을 한 팀으로 구성하여 추진하는 VE와 RM의 통합적 워크숍 방식의 접근법
Crystal Ball – 오라클(ORACLE)의 Crystal Ball은 @RISK와 유사하며 미래의 예측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를 위한 최고의 스프레드시트 기반 애플리케이션이다. 리스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Crystal Ball을 사용하면 불확실한 시장에서도 목표에 도달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올바른 전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CY – 현재 연도
EAC – 완료예상점, EACc 와 EACt 교차점
EACc (Estimate At Completion Cost) – 완료계획 예산, EACc = AC + ETCc
EACt (Estimate At Completion Time) – 완료계획 예상 시간(일정), EACt = AT + ETCt
ES (Earned Schedule) – 진도측정일 기준 완료작업의 획득시간(일정), 실제진도율 × 완료계획 시간(일정)(BACt)
ETCc (Estimate To Completion Cost) – 진도측정일 기준 준공까지 잔여필요 예산, ETCc = BACc + EV 또는 (BACc + EV)/CPI
ETCt (Estimate To Completion Time) – 진도측정일 기준 준공까지 잔여필요 시간(일정) = ETCt = BACt + ES 또는 (BACt + ES)/SPI
EV (Earned Value) – 진도측정일 기준 완료작업의 실적가치, 실제진도율 × 준공계획예산(BACc)
EVA (Earned Value Analysis) – “획득 가치 (Earned Value)”는 프로젝트 관리 기술 중 하나이다. 이 기술은 당신이 실제 지출, 완성 작업의 가치, 측정된 성과에 대해 실제로 획득한 것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FBC – Full Business Case의 약어로서 영국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3단계 타당성검토 중 한계임 (한국의 분단타당성검토와 유사)
MDL (Master Deliverables List) – 프로젝트의 WBS(Work Breakdown Structures) 작성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의도된 프로젝트
요소의 포괄적 목록표. 마스터 산출물 목록표는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성과물 제출 수준을 정의한다.
OBC – Outline Business Case의 약어로서 영국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3단계 타당성검토 중 한계임 (한국의 예비타당성검토와 유사)
P – 변호 확률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신뢰도 측정값. 예를 들어, 80번째 백분위수 비용(P80이라고도 함)은 P80보다 작은 최종 비용의 확률이 80%가 되도록 함. (P50은 중앙값이라고도 함).
Primavera Risk Analysis – PRA는 1981년 PERT Master 제품으로 영국에서 출시된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를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젝트 관리 도구이다. PRA는 프로젝트 일정을 기반으로 정성적/정량적 리스크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PRA는 기본적으로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일정에 대한 품질 평가를 통하여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품질확인이 완료된 프로젝트 일정에 리스크를 결합하여 분석을 통한 프로젝트 일정/원가에 대한 달성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분석을 통한 리스크가 완화가 된 프로젝트 일정을 개발하여 프로젝트 일정/원가에 대한 달성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PRA는 Primavera P6와 Microsoft Project로 작성된 CPM 일정에 대하여 분석이 가능하다.
PRAM (Project Risk Analysis Model) – PRAM은 워싱턴주 교통부에서 개발·공개한 엑셀기반 프로그램으로서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 비용, 일정, 리스크 및 불확실성 정보로부터 비용 및 일정 확률분포를 시뮬레이션 한다. 프로젝트 관리자들과 팀들에게 실행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량적 리스크 분석 결과를 생성해 낸다.
PV (Planned Value) – 진도측정일 기준 계획 된 가치, 계획진도율 × 준공계획예산(BACc)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 프로그램 평가검토기법은 불확실성이 있을 때 프로젝트 구성요소에 대한 원가 및 기간 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 PERT는 구성요소의 원가와 기간 산정에 3점 산정으로 알려진 낙관치, 비관치 및 최빈치의 가중평균을 이용한다. 가중치 구성이 다르면 구성요소의 가능한 원가 및 기간에 대해 다른 분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계산식인 (낙관치+4×최빈치+비관치)/6는 거의 베타분포이다. (낙관치 < 최빈치 < 비관치)/6 계산식은 정형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가중평균의 산정은 낙관치와 비관치가 정규분포에서 동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을 경우 낙관치 만을 이용한 산정보다 평균적으로 정확도가 더 높다. PERT는 원가 및 일정에 대한 정량적 리스크 분석과 동일하거나 이를 대신할 수 없다. 이는 매개변수 원가산정 또는 평행경로와 경로수렴 겹을 갖고 있는 프로젝트 일정표와 같은 모델구조에서 원칙적으로 프로젝트 리스크를 정확히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R&R (Rolls & Responsibilities) – 역할과 책임
SAEO (Strategic Analysis and Estimating Office) – 전략분석견적청(Strategic Analysis and Estimating Office; SAEO)는 WSDOT 개발 부서 산하 조직으로, 견적, 리스크 분석, 가치공학, 실무 설계, 프로젝트 개발 및 교육 분야의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SMART 법칙 (SMART principle) – 리스크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5가지 방식.
구체성(Specific), 측정가능성(Measurable), 원인존재(Attainable), 연관성(Relevant), 시작과 끝이 존재(Timely)를 이용하여 리스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OC – Strategic Outline Case의 약어로서 영국 정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3단계 타당성검토 중 한단계임 (한국의 초기(전략적)타당성검토와 유사)
VAC (Variance At Completion) – 완료계획점 BAC 와 완료예상점 EAC의 차이
VACc (Variance At Completion Cost) – 완료원가 차이로 BACc – EACc로 계산된다. 0보다 작으면 견적적초과 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VACt (Variance At Completion Time) – 완료시간(일정) 차이로 BACt – EACt로 계산된다. 0보다 작으면 일정지연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VaR (Value at risk) – 원래는 금융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지금 현재 가지고 있는 자산을 앞으로도 일정 기간(보유 기간) 계속 보유해서, 주가와 금리 등의 변동(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있는지(신뢰 수준)를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VE (Value Engineering) – 비용대비 기능을 분석하여 원하는 결과에 기여하지 않는 불필요한 비용을 구분하고 제거하기 위한 체계적 접근 방법. (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면 2020년 발간된 SAVE International VMBoK 참조)
VECP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s) – 연방조달규정 FAR(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FAR Part 48)의 Value Engineering(VE) 조항에 따라 계약자가 제출한 제안으로, 계약 변경을 통해 프로젝트 LCC가 절감된다. 미국 정부의 프로젝트, 시스템 등 조달 계약의 프로세스 및 조직의 범위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을 높이며 미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모든 유형의 계약에 포함된다.
(이 제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FAR 국토교통부의 시공VE 제도 및 VE용역대가기준 개선방안 연구 참조)
VERA (Value Engineering and Risk Assessment) – 비용리스크평가(Cost Risk Assessment) CRA 워크숍과 VE(가치 공학) 워크숍이 모두 통합되어 수행되는 워크숍. 일반적으로 리스크 평가/분석은 VE검토 전에 수행된다. 결과는 VE검토의 정보 단계에 입력된다. 팀은 리스크에 대한 대응 업무에 두고 VE잡플랜(VE job plan)의 나머지 단계를 진행한다. VE 제안사항을 채택한 후 후속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여 초기 리스크 평가/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한다.
VMBoK (Value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 국제VE협회인 SAVE International에서 2020년 처음으로 출간한 가치관리지식체계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생산하기 위해 프로젝트 팀이 수행하는 전체 작업 범위의 계층적 분해
YOE – 예스컬레이션을 설비하는 미래 비용의 추정치는 지출 연도(YOE) 용어로 표시된다.
'K-Risk 출판물 > 프로젝트리스크관리 (PRM) 가이드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isk Useful Links 24.12.20] 프로젝트리스크관리 가이드라인 제4편 인용(참고)문헌 링크 (0) | 2024.12.20 |
---|---|
[K-Risk]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가이드라인 인용 및 참고문헌 링크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