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4

[K-Risk 융합소통위원회] 4월 11일(금)~12일(토) (부여 K-Risk 중앙회) 춘계단합대회 행사 일정 확정

아래와 같이 25년 4월 11일(금) - 12(토) 부여에서 개최되는 25년 K-Risk 춘계단합대회에 회원님의 많은 참여 부탁 드립니다. 특히 지난 1월,  폭설 등 기상으로 참여하지 못한 대구경북지역본부, 부산경남본부 회원님들 꼭 오셔서 좋은 사업 구상의 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k-risk 춘계단합대회 개요*  □ 기간 : 25년 4월 11일(금) - 4월 12(토) 일정  □ 장소 : (가칭) 주 케이리스크 대전충남지역본부(부여 소재)  ○ 충남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114  , 부여군 석성면 왕릉로455번길 55 https://kko.kakao.com/wrB-Lh8_0G 카카오맵당신을 좋은 곳으로 안내 할 지도map.kakao.com  □ 세부 일정  ○ 25년  4월 ..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K-Risk]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가이드라인 제3판 참고문헌 (전체)

위 책에서 언급된 참고문헌입니다. 데이터랩스/민경현 (2018),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리스크 분석 및 의사 결정: 엑셀 모델링과 크리스탈볼민재형 (2018), 몬테카를로시뮬레이션: 불확실한 미래의 비즈니스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박성칠 외 (2014), 프로젝트 위험 관리를 위한 Primavera Risk Analysis R&x, 성안당박성칠 외 (2019), PMBOK 기반의 Project Management 적용을 위한 Primavera P6 정복하기, 성안당안상묵 (2018), 글로벌 프로젝트 리스크 매니지먼트, 지식과감성임종권, 김연 (2020), 가치중심적 VE를 위해 왜 VE+RA 통합형 접근방식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대한토목학회지 2020년 2월호, pp.34-42정진학 외 2인..

카테고리 없음 2025.03.30

[K-Risk]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가이드라인 제3판 용어의 정의 (전체)

아래는 위 책의 용어의 정의에 나오는 모든 용어입니다.가격 (Price) –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재정재무적 지출[가격(price) = 원가(cost) + 본지사관리비(overhead) + 이익(profit)] 가용성 휴리스틱(Availability heuristics) – 사람은 최근에 일어났거나 특별했던 사건에 대한 기억을 쉽게 회상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중요성을 부풀리려는 잠재의식적 성향과 결합된다. 그러한 주관적인 생각과 아이디어들을 선호하고, 정착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모든 프로젝트는 고유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결과에 가장 적합한 경험과 지식을 얻기 위해 좀 더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휴리스틱/인지적 편향 참조). 가정사항 (Assumptions) – 계획의 목적상 증명 ..

[학술위원회 25.03.12] KICEM/K-Risk 2025년 제1회 리스크전문가초청세미나 후기

KICEM/K-Risk 2025년 제1회 리스크전문가초청세미나의 시작과 마지막 후기까지 이 사이트에서 업데이트합니다.다음은 25.03.07 15:00에 개최된  제1회 리스크전문가초청세미나의 발표내용과 Q&A 대화록입니다.  (윤희진(통역사)) 한국, 그리고 다른 산업 분야. 그리고 그는 자산 관리 전략, 자산 관리 프로그램, 자본 투자 계획 및 거버넌스, 민관 협력 계약 설계, 탄소 중립화 전략, EAM 소프트웨어 도입을 통해 다양한 경력을 쌓았습니다. 이제 블레어 트레이 씨의 이야기를 들어 보겠습니다. 큰 박수로 환영해 주십시오. Blar Trame(발표자)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블레어입니다. 저는 MCO의 북아시아 자원봉사자입니다. 저는 또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어를 ..

공지사항 2025.03.12

[정경환, 박찬후, 김상태 2024] 지반 리스크관리의 현황과 방향

정경환, (재)영남건설기술교육원 전임교수박찬우, ㈜화정 이사 김상태, 부산대학교 박사과정 2024년 11월 22일 제5회 PRM 컨퍼런스때 발표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다시 요약하여 제시한다. 지반 리스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지반 리스크 관리를 성공적으로 하지 못한 실패현장의 사례를 소개한다. (1) 침하(홍적층 : 자연적 요인)에 대한 예측을 잘못한 인위적 요인으로, 심각한 잔류침하가 발생하여, 태풍 내습시 공항이 폐쇄되는 피해와, 현재도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大阪(오사카)만의 관서국제공항 실패사례 (그림 1)(2) 연약지반 위에 지반개량이나 기초처리 없이 옹벽을 설치하고 뒤채움을 할 때, 연약지반의 저부파괴를 일으킨 실패사례(3) 연약지반이 분포하는 경사지에 토공으로 단지를 조성하다가 편토압..

공지사항 2025.03.03